주문전 꼭 읽어주세요!
- 본 상품은 순정 터보차저가 아닌 재생 터보차저입니다.
- 제품 교체 장착 후 대품(현재 사용중인 터보차저)을 삼정터보로 보내주시는 조건으로 판매를 하고 있으며, 대품입고시 제품 상태에 따라 2~5만원을 다시 고객님의 은행 계좌로 돌려드립니다.
- 주문시 기재하여 주신 차량번호(또는 차대번호)로 해당 차량에 맞는 제품을 보내드리므로, 본 상품의 이미지와 실제 상품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
- 주문시 기재하여 주신 차량번호(또는 차대번호)는 해당 차량에 맞는 제품을 조회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.
- 장착시, 아래의 내용을 꼭 숙지하시어 장착하시기 바랍니다.
터보차저 탈부착 방법
터보차저는 차량에서 초고속 회전(RPM 250,000)을 하는 정밀 제품인만큼 정확하고 주의깊은 탈부착이 요구됩니다.
지금부터 터보차저 탈부착 방법 노하우를 알려드리겠습니다.
- 차량의 엔진 오일을 모두 빼냅니다.
- 터보차저 및 연결된 각종 파이프, 호스, 매니폴드 등을 탈착합니다.
- 탈착한 터보차저의 파트넘버를 확인 후 교체할 터보차저와 동일 한 것인지 확인합니다.
- 각종 연결된 호스와 파이프의 이상 유무를 확인 후, 내부의 이물질 및 기름때를 제거합니다.
- 오일 필터와 에어 필터를 교체합니다.
- 차종에 맞는 엔진 오일로 교환합니다.
- 호스와 파이프 내부를 확실하게 청소해 줍니다.
- 카트리지 오일 입구에 소량의 오일을 미리 주입합니다.
- 매니폴드의 터보차저 배기 접촉 부위 면이 깔끔한지 확인 후 가스켓을 부착합니다.
- 터보차저와 파이프 및 호수등을 부착합니다.
- 카트리지의 오일 출구 가스켓을 교환합니다.
- 터보차저 흡기와 인터쿨러를 연결합니다.
- 카트리지의 오일 입구를 연결합니다.
※ 카트리지 오일 입구에 가스켓 부착시 절대로 본드를 바르지 마세요!!
(본드의 이물질이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되어 오일의 유로를 막을 수 있어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.)
터보차저를 완전히 장착 후 시동을 걸어 실린더 블록에서 터보차저로 들어가는 파이프 입구에서 오일을 0.5L씩 2~3회 반복하여 오일을 받아서 챔버커버로 주입하여 재사용 합니다.
(4~5kg 압력이라는 것은 손으로 막을 수 없을 정도의 압력입니다.)
이렇게 오일이 정상적으로 터보차저로 주입 되어야 터보차저내의 샤우드와 베어링에 오일이 100% 차서 고속회전하게 됩니다.
샤우드는 오일위에 떠서 돌아야만 고장 발생이 없게 됩니다.
- 시동 후 3~5분 정도 공회전을 합니다.
- RPM을 올려주면서 터보차저와 각 연결부위의 공기 및 오일이 유출되는지 점검합니다.
- 시동을 끄기 전에도 공회전을 3~5분간 유지시켜 줍니다.
- 평소 차량 운행 중에도 엔진을 잘 관리해 주고, 엔진오일도 수시로 점검해 줍니다.
터보차저를 교환하면 엔진속으로 강력한 산소가 주입되어 폭발력과 출력이 증가됩니다.
이 때, 배기 매니폴드에 많은 압력이 증가되므로 누유(배기 매니폴드, EGR 가스켓, 인터쿨러 호스 외)되는 것을 점검합니다.
누유시, 소음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터보차저는 초고속 회전(RPM 250,000)하는 정밀 제품입니다. 따라서 주의깊은 탈부착이 요구됩니다.
터보차저의 고장 원인 및 점검
터보차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고장 가능성이 있습니다.
문제가 심각 할 경우에는 샤우드가 완전히 파손될 수도 있습니다.
지금부터 터보차저가 고장나는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이물질이 터보차저 내부로 들어갔을 경우
- 이물질이 공기를 통해 흡기 내부로 유입되면 임펠러가 손상됩니다.
에어 필터가 완벽하게 밀봉이 안되었을 때 그 곳을 통하여 유입됩니다.
에어 필터에 문제가 있다면, 필터의 완벽한 기능을 하지 못해 이물질이 터보차저 흡기 내부로 유입되서 임펠러(날개)가 손상됩니다.

▶ 신품 흡기 임펠러의 모습

▶ 미세한 먼지가 유입되어 손상된 임펠러

▶ 모래알 같은 작은 알갱이가 유입되어 손상된 임펠러

▶ 조금 더 크고 단단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손상된 임펠러
- 이물질이 매니폴드를 통해 터보차저의 배기 내부로 유입되어 터빈휠이 손상됩니다.
엔진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매니폴드를 통과해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됩니다.
터보차저를 차에 부착할 때, 부주의로 인하여 볼트나 너트 등 기타 이물질이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되기도 합니다.
흡기나 배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면, 터보차저의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지게 됩니다.
밸런스는 터보차저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기술입니다. 이런 밸런스가 안맞게 된다면 터보차저는 소음 발생 및 기능이 불가능 하게 됩니다.

▶ 신품 터빈의 모습

▶ 엔진으로 부터 유입된 피스톤 찌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된 터빈
엔진오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
- 깨끗하지 않은 오일을 사용할 경우
오일필터를 통과한 엔진오일은 터보차저로 유입됩니다.
오일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터보차저 내부로 같이 유입되어 베어링 및 샤우드까지 손상을 발생시킵니다.
터보차저 교환 시 꼭 엔진오일과 오일필터도 점검 후 교환하길 권장합니다.
- 엔진오일이 부족할 경우
엔진오일은 터보차저가 작동하는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엔진오일은 카트리지로 주입되어 샤우드의 윤활 작용 및 냉각효과를 줍니다.
만약 오일이 부족하게 되면 카트리지 내부가 과열되어 베어링이나 샤우드 등 내부 부품의 손상과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킵니다.
엔진오일이 터보차저까지 원활하게 주입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시동 후 급출발은 피하고, 터보차저 부착 전 카트리지에 오일을 미리 주입해 둡니다.
- 오일을 장기간 교환하지 않은 경우
오일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으면 품질이 저하되면서 윤활작용 및 냉각효과를 낼 수 없을 뿐만아니라 이물질이 발생되어 터보차저 내부 및 샤우드, 베어링등에 다량의 이물질이 부착됩니다.
- 불량 오일을 사용한 경우
내 차량과 적절하지 않은 오일이나 불량 오일 사용시 윤활 성질이 저하되어 샤우드 손상의 원인이 됩니다.

▶ 신품 샤우드 및 임펠러의 모습

▶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에 문제가 있어 손상된 샤우드

▶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이 부족하여 가열된 샤우드(절단직전)

▶ 터보차저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에 이물질이 있어 휘어진 샤우드
취급 부주의 인한 고장
터보차저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판이 휘거나, 샤우드의 회전이 불안정하던가, 액추에이터(가바나)가 휘어서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없습니다.
터보차저 외 기타 부위 점검
불량(고장)이라고 하는 터보차저를 차량에서 탈착 후 분해 및 재점검해 보면 터보차저는 정상적인 경우도 있습니다.
터보차저 교환 후 터보차저의 불량에 대해 의심하기 전에 기타 다른 부위를 점검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?
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- 인터쿨러에서 터보차저 흡기 부위로 연결되는 호스(파이프)를 탈착합니다.
- 흡기 내부면이 긁혀 있는지, 또는 흡기 날개가 파손 및 휨 현상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합니다.
- 두손을 사용하여 샤우드의 상하, 좌우의 움직임(유격이 어느정도인지 점검합니다.)
- 점검 후 문제가 없을 경우 다시 호스(파이프)를 연결합니다.
터보차저 흡기 주위의 오일이 유출된 경우 점검 방법
- 공기 필터에 다량의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.
- 터보차저 흡기와 엔진 연소실을 연결해주는 호스를 점검합니다.
- 오일캐치탱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합니다.
- 호스가 휘거나 접혀서 유로를 방해하는지, 호스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.
- 장시간 공회전 또한 오일 유출 가능성이 있습니다.
지금까지 점검한 것 중에 이상이 있었다면 오일 유출 현상이 발생됩니다.
흡기 임펠러 부위의 오일 유출 확인 방법은 흡기와 인터쿨러를 연결해 주는 호스 내부 및 터보차저 흡기 내부에 오일이 묻어 있는지 확인하여 알 수 있습니다.
터보차저 배기 주위의 오일이 유출된 경우 점검 방법
- 터보차저 카트리지의 오일리턴라인(오일 출구)부터 엔진 연결부까지 파이프의 막힘 상태를 점검합니다.
- 오일캐치탱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합니다.
- 터보차저의 오일 공급구 또는 오일 출구와 연결되는 모든 파이프와 호스의 내부 이물질 막힘 및 외부 파손 상태를 점검합니다.
- 배기 매니폴드로 오일이 유출되는지 점검합니다.
- 장시간 공회전 또한 오일 유출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오일이 정상적으로 순환이 안되서 막혀 버리면 카트리지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오일이 배기날개와 흡기날개 부위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.
- 오일이 유출되면 불완전 연소를 하게 됩니다. 이 때는 인젝터, 고압펌프도 점검합니다.
마후라로 높은 온도의 검은 연기가 발생될 경우 점검방법
- 검은 연기가 마후라에서 발생되면 공기필터를 점검합니다.
- 엔진 연소실과 터보차저 흡기를 연결하는 호스 또는 파이프로 공기가 유출되는지 점검합니다.
- 에어필터(또는 인터쿨러)와 터보차저 흡기로 연결되는 호스(또는 파이프)를 점검합니다.
- 터보차저 배기와 배기 마후라의 연결부도 점검합니다.
- 인젝터, 고압펌프도 점검합니다.
소음 발생시 점검 방법
- 소음이 발생하는 부위를 찾습니다.
- 공기필터의 이상유무를 점검합니다.
- 터보차저의 각종 연결부를 점검합니다.
- 배기 부위는 유출되는 연기 흔적을 보고 확인하고 흡기 부위는 비누 거품을 사용하여 어느 곳으로 새는지 점검합니다.